디지털 모빌리티 및 로보틱스 연구소는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로보틱스, 그리고 디지털 전환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연구소는 모빌리티 분야의 디지털 기술 및 서비스 연구·개발과 핵심 기술 확보를 비롯해, 모바일 로보틱스 산업의 개발 생태계 조성 및 관련 사업 발굴을 추진합니다. 또한, 모빌리티와 로보틱스의 지속 가능한 연계와 디지털 신사업 개발을 주요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본 연구소는 김준영 연구소장의 모빌리티 서비스 연구실, 강종구 교수의 SPIDEr 연구실, 전홍민 교수의 ESG 연구실 등 다양한 연구실들을 산하에 두고 있으며, 공학과 사회과학 분야를 아우르는 다학제간 융합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장민 교수의 AIDEN 연구실, 고원준 교수의 PRISM 연구실등 다양한 첨단 분야 교내 교수진들과의 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본 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 ETRI, 현대자동차그룹, 클로봇, 모트렉스등과의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젝트 수주 및 연구 협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주요 방향성
1. 모빌리티 차원의 디지털 기술/서비스 연구 개발 및 기술 확보
2. 모바일 로보틱스 산업내 개발 생태계 구축 및 연계 사업 개발
3. 모빌리티/로보틱스 연계 지속가능성 및 디지털 신사업 연구 개발
- 중장기 발전 계획
단계별 운영계획 및 연구 프로젝트 수주 전략
1. 모빌리티 및 로보틱스 기초 역량 확보 토대로 한 분야 확장 추진:
- 기본적인 핵심 기술 연구 역량 확보 위한 산학협력 진행
- 기술 연계 지속가능성/가상자산 포함 신규 아이템 가능성 검증
2. 기존 네트워크 활용한 산학 프로젝트 수주 및 종합 생태계화:
- 기존 수주 이력 기업 대상 수요 파악 통한 프로젝트 개발 제안
- 기업 중심의 프로젝트 구성 및 대형 기획 사업 장기적 추진
전임연구인력 양성 및 활용계획
1. 연구소 차원 심포지엄 및 세미나 통한 분야별 연구 인력 양성/확보
2. 연구 인력들의 역량/관심에 맞춘 담당 배치 통한 연구 성과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