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신미술문화연구』 원고 작성 요령
- 작성일
- 2025.03.27
- 수정일
- 2025.03.27
- 작성자
- 미술사학과
- 조회수
- 87
- 글번호
- 141207
- 첨부파일
『성신미술문화연구』 원고 작성 요령
1. 파일 형식
가급적 *.hwp 파일로 작성하되, 부득이한 경우 *.doc/*.docx 파일로 작성한다.
2. 원고 구성 및 분량
(1) 구성: ① 제목 ② 저자명 및 소속 ③ 논문 목차 ④ 본문(도판, 각주 포함) ⑤ 참고문헌
(2) 분량 및 작성요령:
① 제목: 15단어 이내
② 저자명 및 소속: 성명과 소속 및 직위/학위를 표기한다. 예) 이경선(성신여자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③ 논문 목차: 각 장, 절, 항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I. 서론
1.
(1)
①
Ⅱ.
④ 본문: A4 10장 이내(본문·각주·참고문헌 포함)
참고도판: 10개 이내
도판은 해상도 300dpi 이상(약 1.3M이상)의 jpg파일을 별도 제출한다.
도판목록과 각 도판의 캡션 정보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⑤ 참고문헌: 지면 한계를 고려해 각주의 문헌을 모두 적지 않고, 주요문헌을 20개 이내로 추려 수록한다. 작성규칙은 이하 ‘3. 원고 작성 세칙 중 (5) 참고문헌 표기’ 항목 참고.
3. 원고 작성 세칙
(1) 인명이나 지명은 처음 한 번만 한글(원어)로 표기하고 두 번째부터는 한글로만 표기한다.
예) 앤디 워홀(Andy Warhol)은… / 두 번째부터는 워홀이….
(2) 본문 내 각종 부호는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① 책으로 출판된 인쇄물, 신문, 잡지: 『 』
② 작품제목: 〈 〉
③ 전시회, 연작의 작품 제목: 《 》
④ 인용문: “ “(큰 따옴표)
네 줄 이상 긴 인용문의 경우, 큰 따옴표 대신 별도의 문단을 만들어 본문과 구별한다. 인용 문단은 본문 단락으로부터 5칸 들여쓰기 한다.
인용문 내 말줄임표는 […]를 사용한다.
예) 징집대상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 결국 그는 뉴욕을 떠났다.
⑤ 강조어구: ‘‘(작은 따옴표)
(3) 외국어 표기:
① 본문 작성시 외국어로 된 작가명, 전시제목, 문헌제목, 작품제목은 괄호 안에 원어를 병기한다. 외국인명은 괄호 안에 병기한다.
예)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쿠사마 야요이(草間彌生)
외국어 전시제목, 문헌제목, 작품제목은 해당 부호를 사용하고, 먼저 한글 표기 후 한 칸 띄우고 이탤릭체로 기울여 원어 병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번역이 불가능한 경우는 직접 원어만 표기한다. 중국어, 일본어 제목은 이탤릭체를 적용하지 않는다.
예)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기호학의 원리 The Element of Semiology』
예) 《국제 뉴 리얼리스트 전 International Exhibition of the New Realist》
예)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1959년 작품 <톰린슨 공원 Tomlinson Court Park>
예) 쉬빙(徐冰)의 <천서 天書>
② 외국어의 한글 음역 표기는 기본적으로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을 따른다.
③ 외국어를 한국어로 읽을 때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다.
예) 교또(×), 교토(○), 빠리(×), 파리(○)
④ ㅈ, ㅊ, ㅉ 은 이중 모음(ㅕ, ㅑ, ㅛ, ㅠ, ㅒ, ㅖ)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예) 샹하이(×), 상하이(○), 챠트(×), 차트(○)
(4) 주석 표기:
① 다른 저자의 원문을 직/간접 인용할 경우 인용구문의 문장 끝 오른편 상단에 일련번호로 주석을 표시하며 인용 출처와 정보는 각주로 작성한다.
② 쪽수는 ‘쪽’으로 쓰지 않고 ‘p.’ 또는 ‘pp.’로 통일하며, p. 또는 pp. 다음 한 칸을 띄우고 번호를 표기한다.
예) p. 15. / pp. 15-30.
③ 역자, 편자의 경우, ‘○○○ 역’, ‘○○○ 편’으로 통일한다.
예) 버질 C. 올드리치, 『예술철학』, 오병남 역(서울: 서광사, 2004), pp. 23-26.
예) 이일,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하)』, 정연심·김정은·이유진 편(서울: 미진사, 2013), p. 289.
④ 복수의 문헌을 인용할 경우 문헌 사이를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⑤ 복수의 저자, 편자, 역자를 표기할 경우, 한국어·중국어·일본어 등은 3명 이내까지 ‘·’(가운데 점)로 표기하고, 그 이상일 경우 ‘외 명’으로 한다. 영어·프랑스어·독일어 등은 3명까지 ‘&’로 구분하고, 그 이상일 경우 첫 번째 저/편/역자 다음에 ‘et. al.’로 표기한다.
예) 전원길·박일호·정준모 외 2명, 『독립 아티스트들의 신미술문화 운동』(서울: 다빈치기프트, 2007), p. 356.
예) Michel Foucaut, “Governmentality,”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rnmentality, with Two Lectures by and an Interview with Michel Foucault, eds. Graham Burchell & Colin Gordon & Peter Miller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pp. 87-104.
⑥ 재인용 주석의 경우, 원저작과 2차 사료의 출전을 모두 최대한 정확하게 밝혀준다.
예) Bruno Latour, “Drawing Things Together,” Representation in Scientific Practice, ed. Michael Lynch and Steve Woolgar (Cambridge: The MIT Press, 1990), p. 33, Matthew H. Edney, “Bringing India to Hand: Mapping an Empire, Denying Space,” the Global Eighteenth Century, ed. Felicity A. Nussbaum (Baltimore and Lond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p. 71에서 재인용.
⑦ 역서를 인용했으나, 원서의 서지사항을 밝혀줄 경우 두 문헌 사이는 ‘:’으로 연결하여 표시한다.
예) Manovich, Lev, The Language of New media(Cambridge, Mass.: The MIT Press, 2001): 레프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역(서울: 생각의 나무, 2004), p. 56.
⑧ 영문 논문제목 다음 쉼표(,)는 따옴표 안에 둔다.
예) Michael Fried, “Art and Objecthood,” Minimal Art: A Critical Anthology, ed. Gregory Battcock (New York: Dutton, 1968), p. 147.
⑨ 앞에 인용한 책이나 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앞의 책,’ 혹은 ‘앞의 글’으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발행연도를 기입한다. 특히 외국 저자명의 경우 일부만 줄여 쓰지 않고, 앞부분에 쓰인 그대로 쓴다.
예) 1. 김용준, 「詩와 畵」, 『근원수필』(서울: 을유문화사, 1948), p. 17.
2. Michael Fried, “Art and Objecthood,” in Minimal Art: A Critical Anthology, ed. Gregory Battcock (New York: Dutton, 1968), pp. 116-147.
3. Michael Fried, 앞의 글(1968), p. 117.
4. 김용준, 앞의 글(1948), p. 31.
⑩ 전자정보원, 웹사이트에서 인용한 경우도 최대한 정규 형식을 갖춰, 저자, 문헌제목, 게재일자 및 웹사이트의 주소와 연구자가 마지막으로 접속한 날짜 등을 기재한다.
⑪ 국문·중문·일문 등 각주 표기 규정:
저서 |
규칙 |
저자명, 『저서제목』(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p. 쪽수. |
예시 |
안휘준, 『한국 회화사 연구』(서울: 시공사, 2000), pp. 139-40. |
|
학술지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학술지명』권호수(출판년도), p. 쪽수. |
예시 |
임성훈, 「미술과 공공성: 공공미술에 대한 미학적 고찰」, 『현대미술학논문집』12(2008), pp. 107-112. |
|
역서 |
규칙 |
저자명, 『저서제목』, 역자명(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쪽수. |
예시 |
아르네 그뢴, 『불안과 함께 살아가기』, 하선규 역(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p. 55. |
|
편저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저서명』, 편자명(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쪽수. |
예시 |
노명우, 「벤야민의 파사주 프로젝트와 모더니티의 원역사」, 『발터 벤야민』, 홍준기 편(서울: 라움, 2010), p. 19. |
|
신문 잡지 기사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신문/잡지명』, 발행일자(년 월 일)/권호수(년 월), p. 쪽수. |
예시 |
이경성, 「미국 현대미술의 의미」, 『동아일보』, 1957년 4월 17일, p. 14. |
|
예시 |
김영호, 「모스크바 한국현대미술전 니르바나(Nirvana)의 세계를 찾아서」, 『월간미술』제379호(2016년 8월), p. 70. |
|
학위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학위명, 수여대학, 연도), p. 쪽수. |
예시 |
송가현, 「이미지 존재론을 통해 본 현대영화예술론: 들뢰즈의 잠재적인 것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3), p. 23. |
|
웹 자료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원수록처, 원발행/게시일자, 사이트명, 사이트 주소(검색일자). |
예시 |
김병기, 「《산하재전 山河在展》에 부쳐」, 『김병기 전』(서울: 가나화랑, 1990), 예술자료원, http://da-arts.knaa.or.k r/blog/bkkim.do (2012년 12월 20일 검색). |
⑫ 영문·불문·독문 등 각주 표기 규정:
저서 |
규칙 |
저자명, 저서제목(이탤릭체)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쪽수. |
예시 |
Francis Haskell and Nicholas Penny, Taste and the Antiqu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1), p. 45. |
|
학술지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학술지명(이탤릭체) 권호수 (출간 월, 년도), p. 쪽수. |
예시 |
Evelyn Lincoln, “Mantegnas Culture of Line,”Art History 16:1 (March, 1993), p. 5. |
|
역서 |
규칙 |
저자명, 저서제목(이탤릭체), trans. 역자명 (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쪽수. |
예시 |
Erwin Panofsky, Idea: A Concept in Art Theory, trans. Joseph Peake (New York: Harper & Row, 1968), pp. 56-59. |
|
편저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저서명(이탤릭체), ed. 편자명 (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쪽수. |
예시 |
Shearer West, “Body Connoisseurship,”Notorious Muse: The Actress in British Art and Culture 1776-1812, ed. Robyn Asleson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3), pp. 151-70. |
|
규칙 |
편자명, ed. 편저제목(이탤릭체)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쪽수. |
|
예시 |
Jeri A. Sechzer, et al., eds. Women and Mental Health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p. 1. |
|
신문 잡지 기사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신문/잡지명(이탤릭체), 발행 월 일 년/권호수 (월 년), p. 쪽수. |
예시 |
Jack Shenker, “Despair at the Gates of Europe,”The Guardian Weekly, 11-17 (October, 2013), p. 1. |
|
예시 |
Tyler Marshall, “200th Birthday of Grimms Celebrated,” Los Angeles Times, 15 (March 1985), sec. 1A, p. 3. |
|
학위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학위명, 수여대학, 연도), p. 쪽수. |
예시 |
Thomas Crow, “Jacques-Louis David’sOath of the Horatii: Painting and Pre-Revolutionary Radicalism” (Ph. D. dissertation, UCLA, 1978), p. 56. |
|
웹 자료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원수록처(이탤릭체) (원발행/게시일자), 사이트명, 사이트 주소(검색일자). |
예시 |
Kate Abbott, “A Brief History of Intolerance in America,”Time (30 August 2010), http://web.ebscohost.com/ehost (2017년 8월 2일 검색). |
(5) 참고문헌 표기:
① 참고문헌의 범위는 논문에 인용됐거나 언급된 문헌으로 제한한다.
② 참고문헌의 순서는 한, 중, 일, 서양 및 외국 문헌의 순서로 열거하되 국문 참고문헌은 저자 성(姓)의 가나다 순, 외국어 문헌은 저자의 성(姓)의 알파벳 순으로 한다.
③ 단행본, 논문, 도록, 기사, 인터뷰, 웹 사이트 등을 분류하지 않는다.
④ 동일 저자의 여러 문헌은 발행 연도순(최근 문헌부터 내림차순)으로 기재하며, 저자명 반복 없이 ‘_____’로 표기한다.
예) 오광수, 『김환기』, 서울: 열화당, 1996.
_____, 「이응로에서 김환기까지」, 『세대』, 1971년 1월호, pp. 23-25.
⑤ 한 정보의 둘째 줄 이하는 들여쓰기 한다.
⑥ 표기 내용 및 부호 사용은 아래 ⑧, ⑨번 규정 같이 각주 형식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출판정보는 괄호 없이 기재한다.
⑦ 편저, 학술논문, 잡지기사의 경우 해당문헌의 시작과 마지막 쪽수를 기입한다. 단행본은 쪽수 표기를 생략한다.
⑧ 국문·중문·일문 등 참고문헌 표기 규정:
저서 |
규칙 |
저자명, 『저서제목』, 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
예시 |
안휘준, 『한국 회화사 연구』, 서울: 시공사, 2000. |
|
학술지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학술지명』, 권호수, 출판년도, pp. 시작-마지막 쪽수. |
예시 |
임성훈, 「미술과 공공성: 공공미술에 대한 미학적 고찰」, 『현대미술학논문집』12(2008), pp. 107-134. |
|
역서 |
규칙 |
저자명, 『저서제목』, 역자명, 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
예시 |
아르네 그뢴, 『불안과 함께 살아가기』, 하선규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
|
편저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저서명』, 편자명, 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p. 시작-마지막 쪽수. |
예시 |
노명우, 「벤야민의 파사주 프로젝트와 모더니티의 원역사」, 『발터 벤야민』, 홍준기 편, 서울: 라움, 2010, pp. 19-56. |
|
신문 잡지 기사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신문/잡지명』, 발행 년 월 일/권호수, 발행 년 월, pp. 시작-마지막 쪽수. |
예시 |
이경성, 「미국 현대미술의 의미」, 『동아일보』, 1957년 4월 17일, p. 16. |
|
예시 |
김영호, 「모스크바 한국현대미술전 니르바나(Nirvana)의 세계를 찾아서」, 『월간미술』제379호(2016년 8월), pp. 70-71. |
|
학위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학위명, 수여대학, 연도. |
예시 |
송가현, 「이미지 존재론을 통해 본 현대영화예술론: 들뢰즈의 잠재적인 것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3. |
|
웹 자료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원수록처, 원발행/게시일자, 사이트명, 사이트 주소(검색일자). |
예시 |
김병기, 「《산하재전 山河在展》에 부쳐」, 『김병기 전』, 서울: 가나화랑, 1990, 예술자료원, http://da-arts.knaa.or.k r/blog/bkkim.do (2012년 12월 20일 검색). |
⑨ 영문·불문·독문 등 참고문헌 표기 규정:
저서 |
규칙 |
저자명, 저서명(이탤릭체),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
예시 |
Francis Haskell and Nicholas Penny, Taste and the Antiqu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1. |
|
학술지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학술지명(이탤릭체) 권호수, 출간 월, 년도, pp. 시작-마지막 쪽수. |
예시 |
Evelyn Lincoln, “Mantegnas Culture of Line,”Art History 16:1, March, 1993, pp. 5-29. |
|
역서 |
규칙 |
저자명, 저서제목(이탤릭체), trans. 역자명, 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
예시 |
Erwin Panofsky, Idea: A Concept in Art Theory, trans. Joseph Peake (New York: Harper& Row, 1968. |
|
편저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저서제목(이탤릭체), 편자명 (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p. 시작-마지막 쪽수. *편자 3명까지는 ‘&’로 구분하고, 그 이상일 경우, 첫 번째 편자 다음에 ‘et. al.’로 표기 |
예시 |
Shearer West, “Body Connoisseurship,” Notorious Muse: The Actress in British Art and Culture 1776-1812, ed. Robyn Asleson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3), pp. 151-170. |
|
규칙 |
편자명, ed. 편저제목(이탤릭체),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
|
예시 |
Jeri A. Sechzer, et al., eds. Women and Mental Health,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
|
신문 잡지 기사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신문/잡지명(이탤릭체), 발행일자/권호수, 발행 월 년, pp. 시작-마지막 쪽수. |
예시 |
Jack Shenker, “Despair at the Gates of Europe,” The Guardian Weekly, 11-17 October, 2013, pp. 45-49. |
|
예시 |
Tyler Marshall, “200th Birthday of Grimms Celebrated,” Los Angeles Times, 15, March 1985, sec. 1A, p. 3. |
|
학위 논문 |
규칙 |
저자명, “논문제목,” 학위명, 수여대학, 연도. |
예시 |
Thomas Crow, “Jacques-Louis David’sOath of the Horatii: Painting and Pre-Revolutionary Radicalism,” Ph. D. dissertation, UCLA, 1978. |
|
웹 자료 |
규칙 |
저자명, “기사제목,” 원수록처(이탤릭체), 원발행/게시일자, 사이트명, 사이트 주소(검색일자). |
예시 |
Kate Abbott, “A Brief History of Intolerance in America,” Time, 30 August 2010, http://web.ebscohost.com/ehost (2017년 8월 2일 검색). |
(6) 그림 또는 표의 일련번호 및 캡션 표기:
① 그림 또는 표 삽입 시 반드시 일련번호를 매겨 본문 안에서의 위치를 표시하되, 아래 형식을 따른다.
예) 백남준의 <TV 정원 TV Garden>(그림 3)은 수많은 모니터를 사용해…
예) (그림 1) ○, (도판 1) ×, (도 1) ×, [그림 1] ×
부분도의 경우: (그림 1-1), (그림 2-1)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한다.
② 캡션은 최대한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갖추어 표기하도록 한다.
형식) 작가명(사진자료의 경우 촬영자명), <작품제목>, 제작연도, 재료, 크기(세로x가로cm), 소장처(소장도시, 소장미술관).
③ 외국작가, 작품의 이름 표기의 경우, ‘한글(원어)’원칙을 준수한다. 같은 작가, 작품제목을 다시 언급할 때는 한글로만 표기한다.
예) (그림 7)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1번 No.1>, 1948, 캔버스에 유채, 에나멜 페인트, 173x264cm, 뉴욕현대미술관.
- 다음글
-
[성신미술문화연구회] 창립대회미술사학과 2025-04-07 02:19:48.0
- 이전글
-
[성신미술문화연구회] 제1기 임원진 명단미술사학과 2025-03-27 21:05:12.0